전체 글53 [Arduino Uno R4 WIFI] Arduino IDE에서 디버깅 https://docs.arduino.cc/tutorials/uno-r4-wifi/debugger/ https://docs.arduino.cc/tutorials/uno-r4-wifi/debugger/ docs.arduino.cc Arduino Uno R4 WIFI 에서 MCU의 아키텍쳐가 Cortex-M4로 바뀜에 따라 추가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없이 디버깅이 가능하도록 변경되 었습니다. 드디어 코드가 지저분해지는 Serial.println()으로 변수 확인을 할 필요도 없으며 원하는 라인에서 멈추는 것도 가능해졌으며 ISR(Interrupt Service Routine)에서 디버깅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장점 1. 디버깅을 위해 추가적인 코드 작성 필요 없음(시리얼 모니터로 변수 .. 2025. 4. 3. Mac에서 Atmel(AVR) MCU 개발을 위한 환경 구축 - 2 : LED 점등 예제 동작 - 개발 환경Macbook Pro 14 (M3)macOS : Sequoia 15.4 개발 보드 : NewTC AVR MEGA 128 개발보드프로그래머 : NewTC AVR용 USPISP V7.0Jtag 프로그래머 및 디버거 : AVR JTAG ICE USB1. 서론 지난 포스트에서 Toolchain를 설치 하였으며 이번에는 개발보드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LED를 점등 하는 예제를 동작시켜볼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터미널를 통해서 컴파일 및 업로드를 하면서 makefile로 자동화 하기 전 컴파일부터 업로드까지의 흐름을 이해할것입니다. 2. LED 점등 예제 코딩# 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이동mkdir -p ~/Documents/atmel/LED_blinkcd ~/Documents/atmel/LED_.. 2025. 4. 2. Mac에서 Atmel(AVR) MCU 개발을 위한 환경 구축 - 1 Toolchain 설치 - 개발 환경Macbook Pro 14 (M3)macOS : Sequoia 15.4 개발 보드 : NewTC AVR MEGA 128 개발보드프로그래머 : NewTC AVR용 USPISP V7.0Jtag 프로그래머 및 디버거 : AVR JTAG ICE USB1. 서론 사실 Atmel MCU는 윈도우에서 AVR studio 4 또는 Microchip studio 7 에서 개발을 많이 합니다. Codevision 도 있지만 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번 기회에 맥북을 사고 나서 대부분의 개발 환경을 Mac에 맞추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로 Microchip studio 7에서 Atmel MCU를 디버깅하려면 AVRICE 라는 장치가 필요한데 가격이 많많치 않아 지금 제가 가지고.. 2025. 4. 2. MacOS에서 PATH 환경 변수에 Directory 추가하기 /etc/paths에 Directory 추가1. /etc/paths에 Driectory 추가 방법# root로 로그인sudo su echo >> /etc/paths앞으로 새로 터미널을 열면 PATH에 해당 Directory가 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5. 4. 1. [Yocto Project] networkmanager를 통해 wifi 연결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Yocto Project : Scarthgap0. 사전 작업 (리눅스 이미지 빌드)https://littlebitodd-developer.tistory.com/27 [Yocto Project] RaspberryPI4를 위한 리눅스 이미지 빌드1. 개발 환경WSL2 (Ubuntu 22.04 LTS)개발 보드 : Raspberrypi 4 2. 필요 패키지 설치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chrpath cpio debianutils diffstat file gawk gcc git iputils-ping libacl1 liblz4-tool locales python3 python3-git p.. 2025. 4. 1. 다양한 임베디드 개발 보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1. 아두이노 보드 임베디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보드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렵지 않은 개발 환경과 그리고 방대한 라이브러리와 커뮤니티를 통해 조금만 공부하더라도 수준급의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최고의 보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계가 보이는 것이 대부분의 AVR의 8bit 프로세서로서 성능의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인터럽트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작성하게 되면 오히려 너무 큰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힘들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최근 트렌드를 반영하려고 하는지 "아두이노 R4 wifi"에서는 Cortex-M4의 아키텍처의 32bit MCU와 ESP32를 같이 사용하여 부족한 성능을 보안하고 있습니다.- 장점 1. 방대한 라이브러리와 커뮤니티 2. 다루기 쉬운 아두이노 IDE 3.. 2025. 3. 31.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