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are metal
- C++
- AVR
- BeagleBone
- Raspberry
- STM32
- Visual Studio
- yocto
- atmel
- USART
- UART
- 아두이노
- avr-gcc
- nucleo
- QEMU
- GPIO
- 리눅스
- platformio
- AArch64
- Debug
- Arduino
- raspberrypi
- Linux
- esp32
- Debugging
- 라즈베리파이
- 디버깅
- vscode
- buildroot
- Visual Studio Code
- Today
- Total
목록UART (7)
임베디드를 좋아하는 조금 특이한 개발자?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 선행 포스트 UART를 사용하기 위한 레지스터 확인https://littlebitodd-developer.tistory.com/63 [RaspberryPI4] Bare metal에서 UART통신을 위한 레지스터 확인-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1. 서론 지금까지 C언어로 GPIO를 제어하는 간단한 예..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1. 서론 지금까지 C언어로 GPIO를 제어하는 간단한 예제까지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GPIO만으로는 지역변수나 레지스터의 값을 확인하기 힘듭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JTAG를 통해 디버깅을 하는 것이지만 장비도 비쌀 뿐더러 추가적인 작업이 힘들기에 취미로 개발을 진행할 때에는 UART로도 충분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UART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에도 편하기에 앞으로 자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2. UART 통신을 하기 위한 레지스터 확인 라즈베리파이4에서 사용하는 BCM2..

https://www.raspberrypi.com/documentation/computers/legacy_config_txt.html#init_uart_baudconfig.txt options - Raspberry Pi Documentation" data-og-description="The official documentation for Raspberry Pi computers and microcontrollers" data-og-host="www.raspberrypi.com" data-og-source-url="https://www.raspberrypi.com/documentation/computers/legacy_config_txt.html#init_uart_baud" data-og-url="http..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NUCLEO-F103RB개발 프로그램- STM32 CubeMX : 6.12.0- STM32 CubeIDE : 1.16.01. 서론 USART(Universal Synchronous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는 MCU으로 통신을 하려고 할때 가장 처음 배우는 통신 방법일 것입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개발보드에서 USART으로 PC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며, 만약 없더라고 하더라도 USB to TTL을 사서 쉽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외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이번에는 STM32으로 USART를 사용해 PC와 통신하는 기능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프로젝트 생성 STM32 C..

1. 서론 모니터와 키보드가 없는 경우 리눅스 이미지를 실행하여도 접근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런 경우 UART를 통해 입출력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환경변수 추가 3. 이미지 빌드#poky 에서source oe-init-build-env build-rpibitbake core-image-base4. 라즈베리파이 UART 연결- 준비물https://www.devicemart.co.kr/goods/view?no=1164522&srsltid=AfmBOootU4Sqk_sGVGtZhpcfdWGn0iwyTfYKxOk7RgSqL_jU4KWsaZN0 USB to TTL Serial CablePL2303TA(PL2303HX) 칩셋을 이용한 USB to TTl 컨버터www.devicemart.co.kr ..

1. STM32의 UART 통신의 문제점 STM32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두이노에 비해 UART를 사용하기 매우 힘들기에 배우기 힘들어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경험한 바로 크게 2가지 정도 UART를 사용하는데 힘들어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1. 수신하려는 데이터 길이가 고정 많은 사람들이 STM32를 다루기전에 아두이노를 먼저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두이노에서는 굳이 데이터의 길이를 알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처리해주기에 개발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STM32의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 데이터의 길이를 미리 알아야 송수신이 가능하다. 특히, 데이터의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 ex. 명령어를 보내는 경우) 매우 난감하다. 1.2. 인터럽트가 도중 멈추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