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isual Studio
- 아두이노
- UART
- C++
- 디버깅
- esp32
- 라즈베리파이
- Debug
- AArch64
- AVR
- Debugging
- raspberrypi
- avr-gcc
- STM32
- GPIO
- vscode
- USART
- bare metal
- atmel
- platformio
- Visual Studio Code
- 리눅스
- Linux
- QEMU
- Arduino
- buildroot
- Raspberry
- yocto
- BeagleBone
- nucleo
- Today
- Total
목록raspberrypi (9)
임베디드를 좋아하는 조금 특이한 개발자?

- 프로젝트 Githubhttps://github.com/MainForm/BaremetalOS/tree/097317dfd24a2ad16db9dafcc02147118395bdf7 GitHub - MainForm/BaremetalOSContribute to MainForm/BaremetalO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1. 지금까지 진행상황 이번 개발에서는 본격적인 OS 커널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기본적인 peripheral 및 새로운 개발보드(Realview-PB-A8)에 대한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 특히 저번 개발 과정에서 리펙토링을 완료하여서 인지 더욱 개발이 생각보다 편하였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굳이 하드웨어를 사용..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 선행 포스트https://littlebitodd-developer.tistory.com/60 [RaspberryPI4] Bare metal에서 Assembly 언어로 GPIO 제어-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 참고 자료- 라즈베리파이 보드에 대한 설명 및 부팅 순서에 대한 소개https://www...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SDcard 64Gb1. 서론 리눅스가 아닌 Bare metal 환경에서 직접 개발한 image를 라즈베리파이에서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확인 할 것 입니다. 2. SD카드 파티션 설정 SD카드는 어떤 카드를 사용해도 상관 없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 삼성 SDCard 64Gb를 사용하였습니다. 이제 해당 SDCard를 라즈베리파이4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포멧하고 파티션을 구성할 것입니다. 먼저 컴퓨터에 SDCard를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SDCard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 연결된 USB 리스트 확인lsusb// 사용가능한 Block device 리스트 확인lsblk 저의 경우 USB ..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toolchain : aarch64-linux-gnu-gcc (Ubuntu 11.4.0-1ubuntu1~22.04) 11.4.0- 참고 자료- 라즈베리파이 보드에 대한 설명 및 부팅 순서에 대한 소개https://www.raspberrypi.com/documentation/computers/raspberry-pi.html- 라즈베리파이4에 사용된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https://www.raspberrypi.com/documentation/computers/processors.html#bcm2711- 라즈베리파이을 위한 Linux kernel 빌드 방법 소개https://www.raspberrypi.com/docu..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buildroot(2024.02)1. 서론 Buildroot를 이용하여 개발하다 보면 buildroot 내 이미 개발보드나 패키지들이 많이 정의 되어 있어 추가적인 개발보드나 패키지를 추가하는 것은 프로젝트 관리만 힘들어 질 뿐입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buildroot와 개발 환경을 독립시켜 개발하는 것이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렇게 프로젝트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batocera.linux 와 LVGL 보면 buildroot 밖에서 개발보드나 패키지를 개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공식 문서를 참고 해 나가면서 개발 환경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https://build..

- 개발 환경개발 보드 : Raspberrypi 4WSL2 (Ubuntu 22.04 LTS)buildroot(2024.02)1. 서론 저는 buildroot를 통해 LVGL을 개발하려고 DRM 관련 설정을 찾던 도중 해당 내용이 정리되어 있지 않아 이 글을 포스트합니다. 현재 포스트는 이미 Buildroot 관련하여 Linux를 한번 이상 빌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menuconfig를 통한 설정먼저 /dev management를 "Dynamic using devtmpfs + eudev"로 설정합니다./dev management는 "System configuration"에 있습니다. 그다음 Needs host libelf를 설정합니다.Needs host libelf 설정은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