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scode
- atmel
- 라즈베리파이
- QEMU
- bare metal
- AArch64
- BeagleBone
- 리눅스
- Visual Studio
- Debugging
- yocto
- Linux
- raspberrypi
- Raspberry
- buildroot
- Arduino
- UART
- 디버깅
- esp32
- STM32
- 아두이노
- AVR
- avr-gcc
- Debug
- nucleo
- platformio
- GPIO
- Visual Studio Code
- USART
- C++
- Today
- Total
임베디드를 좋아하는 조금 특이한 개발자?
STM32위한 vscode 개발 환경 구축 본문
STM32을 개발하기 위해서 STmicronics 회사에서 제공하는 "STM32 CubeIDE"를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기존 Visual studio code를 자주 사용하는 저에게 있어 Eclipse 기반의 STM32 CubeIDE는 사용하기 매우 불편하였습니다.
다행이 STmicronics 회사에서 Visual studio code에서 개발 할 수 있는 extension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기능이 부족하지만 제가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여 Visual studio code로 개발환경을 구축해보았습니다.
1. 사전 필요 프로그램
1) STM32 CubeCLT (Version: V1.16.0)
https://www.st.com/en/development-tools/stm32cubeclt.html
STM32CubeCLT - STMicroelectronics
STM32CubeCLT - Toolset for third-party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providers, allowing the use of STMicroelectronics proprietary tools within their own IDE frameworks, STM32CubeCLT-DEB, STM32CubeCLT-RPM, STM32CubeCLT-Win, STM32CubeCLT-Lnx, STM
www.st.com
2) STM32 CubeMX (Version : V6.12.0)
https://www.st.com/en/development-tools/stm32cubemx.html
STM32CubeMX - STMicroelectronics
STM32CubeMX - STM32Cube initialization code generator, STM32CubeMX-Win, STM32CubeMX, STM32CubeMX-Lin, Patch-CubeMX, STM32CubeMX-Mac, STMicroelectronics
www.st.com
위 두개 프로그램은 Visual studio code 내 extension를 설치하기전 미리 설치 하여야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 Visual studio code 의 extension 설치
저는 가장 최신 버전인 v2.1.0 버전으로 설치 하였습니다.
또한, 미리 STM32 cubeCLT를 설치하였다면 extension을 설치 할때 자동적으로 STM cubeCLT위치를 찾기 때문에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1. STM32 CubeCLT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Extension 설정에서 STM32 cubeCLT 설치경로를 정확이 입력하였는지 확인 하여야 합니다.
3. STM32 프로젝트 생성
이제 개발을 위해 STM32의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하고 Visual studio code에 import 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이미 보드에 장착된 LED를 1초 마다 깜빡거리는 프로젝트를 개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Nucleo-F429ZI 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드는 각자 개발환경에 따라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개발 보드를 선택하였을 때 보드에 장착된 LED에 대해서 이미 GPIO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GPIO에 대한 설정은 건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CubeMX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및 생성이 완료 되었습니다.
생성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code에서 import하여 개발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F5" 키를 눌러 디버그를 해보면, 자동적으로 빌드 및 보드에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업로드가 완료 된다.
디버깅을 종료 후, 보드의 전원을 껏다가 다시 키게 되면 정상적으로 LED가 1초 마다 깜빡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Embedded > STM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M32] 간략한 Timer 사용 방법(1ms 주기 설정) (0) | 2025.02.16 |
---|---|
[STM32] 인터럽트를 이용한 echo UART 통신 (0) | 2024.09.13 |
[STM32] C++에서 printf() 함수 사용 (0) | 2024.09.12 |
[STM32] VScode에서 C++로 빌드 (0) | 2024.09.11 |
[STM32] UART통신에서 printf() 함수 사용 (0) | 2024.09.11 |